1. 산행구간: 대간4차30-2구간(닭목재~고루포기산~능경봉~대관령) |
강원 평창군 도암면(대관령면), 강릉시 왕산면 일대 |
2. 산행일시 : 2019년 11월 9일 10:26~14:09(3시간43분) 휴식 포함 |
3. 산행인원 : 공작산과 좋은~ |
4. 날씨 : 8도~14도 맑음후 차차흐리고 흩날리는 안개비 |
5. 산행거리 : 14.01 Km (trackmaer 프로그램기준) |
6. 특징 : 산행하기엔 너무나 완만한 코스이고 전망은 안개에 보통 |
7. 교통편 : 36인승 대형버스 |
|
대관령(大關嶺) |
강원 평창군 대관령면 횡계리 |
해발고도 832m이며, 고개의 총연장이 13km이고, 고개의 굽이가 99개소에 이른다고 한다. |
서울과 영동을 잇는 태백산맥의 관문이며, 영동고속도로가 지났으나 2002년 11월 횡계~강릉 구간이 터널로 바뀌었다. |
대관령을 경계로 동쪽은 남대천이 강릉을 지나 동해로 흐르며, 서쪽은 남한강의 지류인 송천(松川)이 된다. |
이 일대는 황병산, 선자령, 발왕산 등에 둘러싸인 분지로 고위평탄면 지형을 이룬다. |
기후는 한랭 다우지역으로 한국에서 가장 먼저 서리가 내리는 지역이다. |
특히 겨울에 눈이 많이 내려 스키장이 들어서기에 좋은 조건이다. [네이버자료 펌] |
능경봉[陵京峰 ](고도:1,123m). |
강원도 평창군 대관령면 횡계리 및 강릉시 왕산면 왕산리에 걸쳐 있는 산. |
대관령 남쪽에서는 가장 높은 봉우리이다. 제왕산의 모산이다. |
이 봉우리에서 능선을 따라 북쪽으로 가면 대관령이 나오고, 남쪽으로 가면 횡계치가 나온다. |
산 이름의 유래에 대해서 세 가지 속설이 있다. 첫째, 대관령 능선 아래 있다고 해서 능정봉(凌頂峰)이라 한다. |
둘째, 산의 모양이 둥그스름하여 마치 큰 왕릉처럼 생겨서 능정봉이라 한다. |
셋째, 활시위처럼 생겨서 소궁음산(所弓音山)이라 한하는데 신빙성이 약해 보인다. |
현대지도나 산꼭대기의 표석에는 능경봉(凌京峰)으로 표기되어 있다. |
[네이버 지식백과] 능경봉 [凌京峰, Neunggyeongbong] (한국지명유래집 중부편 지명, 2008. 12., 국토지리정보원) |
고루포기산[─山 ] 높이 1,238m |
강원 평창군 대관령면 수하리(水下里)와 강릉시 왕산면(旺山面) 고루포기 마을 사이 있는 산. |
북쪽에 능경봉(1,123m), 동쪽에 서득봉(西得峰, 1,052m), 남쪽에 옥녀봉(玉女峰, 1,146m) 등이 솟아 있고, |
백두대간 상에 솟아 있는 산으로, 울창한 숲과 초원지대와 야생화가 조화를 이루어 풍경이 아름답다. |
[네이버 지식백과] 고루포기산 [─山] (한국민족문화대백과, 한국학중앙연구원) |
첫 번째, 다복솔이라는 키가 작고 가지가 많은 소나무들이 배추처럼 포기를 지어 많이 난다고 해서 붙여졌다 함. |
두 번째, 고루포기란 마을 지명에서 유래 '골짜기' 또는 '골짝'을 뜻하는 강원도 사투리 '골패기‘의 연음현상 |
세 번째, 고로쇠나무가 많다하여 고루포기란 이름이 생겼다는 설 [블로그자료펌] |
닭목재[Dakmokjae ] |
강원도 강릉시 왕산면 대기리에 위치한 고개이다. |
남북방향으로 놓여 있으며, 북서쪽에는 서득봉(1,053m)이 있고 남동쪽에는 화란봉(1,069m)이 있다. |
한자화해서 계항치(鷄項峙)라고도 한다. 고개의 모양이 닭목처럼 생겨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해지고 있다. |
고개 주변에 닭목골 · 닭목이 · 닭목교 등의 관련 지명이 있다. |
[네이버 지식백과] 닭목재 [Dakmokjae] (한국지명유래집 중부편 지명, 2008. 12., 국토지리정보원) |
|
8월24일 대관령~닭목령~삽당령 산행을 하면서 3차 완료및 4차산행으로 나눴었는데 |
오늘은 닭목령 에서 대관령 으로 반대방향 산행 하였다. |
이번엔 고속도로 개통석에서 계단통하지않고 정통길 걸어 대관령 이정석을 들렸기에 |
3시간43분으로 4분 더걸렸는데 결국 비슷하였다고 본다. |
사당을 7시 떠난 버스는 대관령터널을 지나 강릉 지나 도로타고 올라오다보니 |
시간 꽤걸려 삽당령에 10시25분 되어 도착한다. |
쾌청하고 시원한 날씨 이정석 사진을 찍고 출발한다. |
임도길 따라진행하여 어느덧 산길을 올라가는데 4키로 육박한 속도로 줄지어간다. |
길은 좋지만 그래도 경사를 올라가는데 땀이 줄줄 흘리면 가는데 |
한시간이 넘어 가는데도 20여명이 줄지어 가는 속도는 줄지않는다. |
일행을 보내고 선두그룹 후미에서 조금늦게 3,8키로 속도로 따라간다. |
바위길도 오르고 왕산2쉼터를 지나 오르는데 날씨가 흐리며 심상치않다. |
송전탑을 지나고 꾸물꾸물대는 날씨속에 고루포기산에 도착한다.(12:06) |
이젠 편한길과 내리막길 낙엽길을 미끄러지지 않으려고 조심히 진행한다. |
두번은 어둠속에 지나가고 한번은 낮인데 안개속에 지난 전망대에 도착한다. |
그리좋은 전망은 아니지만 잔뜩흐린날씨에 횡계면(대관령면) 시내를 바라본다. |
멀리 선자령과 대관령 목장 그리고 풍력발전기는 안개와 구름에 안보인다, |
연리지 나무를 지나 내려오고 조금 씩 흩날리며 떨어지는비와 바람에 조금 춥다. |
등과 얼굴은 땀을 흘리고 팔뚝은 조금 추위를 느낀다. |
그리배고프진 않지만 오늘은 날머리 식당도 있으니 나무 의자에서 간식을 먹는다 |
약간씩 흩날리는 안개비에 배낭이 조금씩 젖어있어 커버를 씌우고 산행한다. |
영동고속도로 대관령 터널길을 지나며 지나가는 차를 바라보며 간다. |
능경봉 주위와 고속도로 주변 안개를 바라보며 걷는다. |
돌길을 올라 돌탑을 지나 조금 올라 능경봉에 도착한다.(13:33) |
정상에서 바라보지만 안개에 주위가 전혀 안보인다. |
안개낀 산을 내려오고 헬기장을 지나고 제왕산 갈림길을 지나내려온다. |
물없는 용천을 지나고 대관령 휴게소와 계단을 바라보며 |
고속도로 개통기념석 사진을 찍고 오늘은 계단으로 안가고 |
대간 정통길 따라 이동하여 대관령 이정석 사진을 찍고 |
대관령 휴게소로 내려와 산행 종료 한다.(14:09) |
남은 물로 세수하고 발딱고 옷갈이입고 반대편 휴게소 주차장으로 간다. |
대관령 끝날때마다 가는 식당 대관령 한우촌 식당에 간다. |
8월10일 진고개 대관령 산행후 온지 3개월만이라 그런가 식당 주인 두분이 알아본다. |
6명정도 둘러앉아 각자 원하는 주류와 안주를 시키고 |
난 생고기 김치찌개 소주한잔 하며 즐거운 대화 시간을 갖는다. |
즐겁게 마시고 버스있는 주차장으로와서 잠시 쉬고 있으니 후미들 도착한다. |
산행시간 6시간에서 한시간 이상 단축한 15시15분쯤 상경하여 올라온다. |
휴게소 한번 쉬고 올라와 사당도착하여 집으로 돌아온다. 2019년 11월 9일 공작산
|
'백두대간(4完) > 대간4차(完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대간4차13-2구간(화령재~윤지미산~무지개산~신의터재~지기재)2019.11.12 (0) | 2019.11.13 |
---|---|
대간4차30-2구간(닭목재~고루포기산~능경봉~대관령)경치1 2019.11.09 (0) | 2019.11.11 |
대간4차15-1구간(화북분소~문장대~신선대~비로봉~천왕봉~형제봉~갈령삼거리~갈령)경치1 2019.11.07 (0) | 2019.11.08 |
대간4차15-1구간(화북분소~문장대~신선대~비로봉~천왕봉~형제봉~갈령삼거리~갈령)2019.11.07 (0) | 2019.11.08 |
대간4차20구간(작은차갓재~대미산~부리기재~마골치~포암산~하늘재)경치1 2019.11.06 (0) | 2019.11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