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산행구간: 대간4차26구간(화방재~만항재~함백산~은대봉~두문동재~금대봉~비단봉~매봉산~피재~건의령~상사미동)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강원도 영월군 상동읍, 정선군 고한읍, 삼척시 하장면, 도계읍, 태백시 일대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2. 산행일시 : 2019년 12월 19일 6:23~14:49(8시간26분) 휴식 포함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3. 산행인원 : 공작산 나홀로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4. 날씨 : 영하4도~4도 새벽 한차례눈 차차 맑음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5. 산행거리 : 28.98Km (trackmaer 프로그램기준)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6. 특징 : 함백산, 바람의 언덕 찬바람으로 추웠음, 아이젠 벗었다 신었다 시간 지체됨 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7. 교통편 : 대중교통 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함백산[ 咸白山 1573]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강원 정선군 고한읍과 태백시의 경계에 있는 산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국내 유수의 탄전지대이며, 산업선인 태백선 철도가 산의 북쪽 경사면을 지난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오대산(五臺山:1,563m) ·설악산(雪嶽山:1,708m) ·태백산(太白山:1,567m) 등과 함께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백두대간에 속하는 고봉이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북서쪽 사면에는 신라시대에 건립한 것으로 알려진 정암사(淨巖寺)가 있는데,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이곳에는 정암사 수마노탑(水瑪瑙塔:보물 410)과 정암사의 열목어 서식지(천연기념물 73)가 있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[두산백과 자료펌]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만항재 晩項-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강원도 정선군 고한읍과 영월군 상동읍과 태백시가 만나는 지점에 위치한 고개이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남한에서 여섯번째로 높은 함백산(1,573m) 줄기가 태백산(해발1,567m)으로 흘러내려가다가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잠시 숨을 죽인 곳으로, 우리나라에서 포장도로가 놓인 고개 가운데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가장 높은 지점에 위치한 고갯길로 알려져 있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해발 1,330m로 지리산 정령치(1,172m)나 강원도 평창과 홍천의 경계선인 운두령(1,089m)보다도 높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태백과 정선을 잇는 두문동재에 터널이 뚫려 시간이 단축되면서 길고 험한 만항재에는 인적과 차량이 드물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만항재 아래에는 일제강점기부터 탄광 개발이 시작된 만항(晩項) 마을이 있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고개 중턱에는 만항소공원이 마련되어 있다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[국토지리원 자료펌]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은대봉[ 銀臺峰 ]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강원도 정선군과 태백시의 경계에 있는 산. 높이는 1,442m이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함백산 봉우리 중 하나인 은대봉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정암사를 세울 때 조성된 금탑, 은탑에서 금대봉(金臺峰)과 은대봉이라는 이름이 생겨났다고 전해진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바로 이웃에 있는 금대봉과 이어주는 두문동재(이전 이름은 싸리재:1,268m)에서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은대봉 정상까지는 1㎞ 거리이다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정상에는 헬기장이 조성되어 있으며, 북쪽으로 금대봉·비단봉·천의봉, 동쪽으로 태백시와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백병산·면산·묘봉으로 이어진 낙동정맥, 남쪽으로 중함백산, 서쪽으로 백운산·두위봉 등이 보인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[두산백과 자료펌]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금대봉[金臺峰 ]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강원도 태백시와 정선군 및 삼척시에 걸쳐 있는 산. 높이는 1,418m이다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한강과 낙동강의 발원지인 검룡소와 용소, 제당굼샘을 안고 있는 의미 깊은 산으로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금대라는 말은 검대로, 신이 사는 곳이라는 뜻이고 또한 금이 많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이 산 기슭에 있는 제당굼샘과 고목나무샘물골의 물구녕 석간수와 예굼터의 석간수에서 솟는 물이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지하로 스며들어 검룡소에서 다시 솟아 나와 514km의 한강발원지가 된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지금까지 오대산 우통수가 한강의 발원지라고 알려져 있었으나 오대천과 창죽천의 합수지점인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정선군 북면 나전리에서 도상실측을 한 결과 창죽천이 약 32km나 더 긴 것으로 밝혀졌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그래서 국립지리원에서 한강의 발원은 강원도 태백시 창죽동 금대봉 기슭이라는 공인을 받게 된 것이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[네이버 지식백과] 금대봉 [金臺峰] (두산백과)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삼수령[三水嶺 ]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강원도 태백시 적각동에 있는 한강·낙동강·오십천의 분수령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높이 920m로, 백두대간 낙동정맥의 분기점이며 삼강(三江:한강·낙동강·오십천)의 발원지이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이곳에 떨어지는 빗물이 북쪽으로 흘러 한강을 따라 황해로, 동쪽으로 흘러 오십천을 따라 동해로,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남쪽으로 흘러 낙동강을 따라 남해로 흐르는 분수령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또 하나의 이름이 전하는데, 삼척 지방 백성들이 난리를 피해 황지로 가기 위해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이곳을 넘었기 때문에 '피해 오는 고개'라는 뜻으로 피재라고도 한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[네이버 지식백과] 삼수령 [三水嶺] (두산백과)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쑤아밭령/창죽령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한강 최상류 마을 삼척시 하장면 창죽과 낙동강 최상류 마을인 태백시 화전을 잇는 고개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옛날 화전에서 밭벼를 재배하여 수화전(水禾田)이라 하였다가 禾田(화전,밭전)이 되었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지역주민들은 쑤아밭이라 불리워 진다고 한다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건의령[巾衣嶺]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강원도 태백시 상사미동에서 도계읍으로 넘어가는고갯길이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고려말때 삼척으로 유배 온 공양왕이 근덕 궁촌에서 살해되자 고려의 충신들이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이고개를 넘으면서 관모와 관복을 걸어놓고 다시는 벼슬길에 나서지 않겠다고 하며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고개를 넘어 태백산으로 몸을 숨겼다는 전설이 전해지는 유서깊은 고개이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관모와 관복을 벗어 걸었다고 하여 관모를 뜻하는 건(巾)과 의복을 뜻하는 의(衣)릏 합쳐 건의령이라고 부르게 되었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[안내도 자료]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겨울이 아니면 해도길고 한데 겨울이라 혹시 러셀 하게되면 10시간이상 산행해야되어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두구간 나누어야 할까 고민좀 하다가 택시 예약관계로 전화해보니 눈이 별로란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하여 당일 산행으로 계획하여 출발한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청량리 14:30 출발하여 정시인 18:20 도착하여 저녁먹고 찝질방으로 걸어가 편히 쉰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무인요금계산기로 인건비 줄인게 특징이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사우나5000, 찜질방 7000,열쇠보증비 2000(반납시 환불) 와이파이, 매점도 있고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참으로 깨끗하고 편한데 인터넷엔 검색이 안됨.(태백시청에 문의해서 알았음)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아침 6시 직전에 나와 태백역에서 택시를 타고 화방재에 도착한다.(6:22)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아직 어둠속에 어평재 휴게소 불빛 환하고 하늘엔 구름쌓인 반달이 날씨처럼 썰렁하게 떠있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찜방 나올때 스패치 까지 하였으니 바로 출발하면서 스틱 조절하며 출발한다.(6:23)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화방재 약950에서 수리봉 1214봉까지 급경사 오르막을 서서히 오르는데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강한바람이 불며 갑자기 일기예보에 없었던 한바탕 눈이 휘날린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수리봉 도착하여 옷에 눈털고 출발하는데 날이 조금씩 밝아오려 한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이젠 비교적으로 편한 등산로를 진행하여 군부대를 지나 만항재에 도착한다.(7:33)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나무사이로 해가 떠오르고 함백산 바라보며 도로를 따라 진행하여 산을오른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도로따라가도 되지만 정석대로 1376봉오르며 뒤돌아보니 만항재 군부대근처로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운무가 넘어가며 멋진 장면을 연출한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천제단을 지나고 조금 진행하여 도로에 내려서고 시멘트 도로따라 올라가고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돌계단 오르며 고도를 높여가며 운무와 경치를 보며 천천히 올라 함백산에 도착한다(8:35)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오늘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만난 등산객 두분과 인사하고 이정석 사진을 찍고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강한바람불지만 태백산, 은대봉,금대봉,비단봉,매봉산 바라보고 내려온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조금 내려와 빙판길이라 아이젠하고 내려오는데 산행 끝날떄 까지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아이젠 벗었다 신었다 반복하여 시간을 조금 지체한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함백산지나 은대봉까지 산행 지체하여 9시간내에(15:25) 산행하는게 힘들것같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기차시간 16:03분 기차는 포기하고 여유로운 마음을 먹고 산행한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조금 내려와 너덜지대를 지나고 다시올라 중함백에 도착하여 주위를 바라본다(9:03)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함백산과 하이원 은대봉,금대봉,매봉산,태백시내 멀리 바라보며 내려온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바닥찍고 다시서서히 올라 은대봉에 도착한다.(9:57)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두문동재 구불길과 터널 도로를 바라보며 내려와 두문동재에 도착한다.(10:13)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화방재 두문동재 4시간 넘을것 같았는데 추워서 휴식 안하여 10분 단축하여 도착했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이제 5시간 목표로 출발하는데 두문동재 관리소 지나 진행한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작은 도로따라오르다 햇빛비추는 헬기장에 도착하여 휴식한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편의점 김밥과 커피 마시며 아침을 해결한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산길 조금 올라 금대봉에 도착하여 이정석 사진을 찍는다(10:43)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조금 남은 눈길을 밟으며 쑤아밭령을 지나고 이젠 거하게 올라 비단봉에 도착하여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태백산, 함백산,은대봉,금대봉 바라보고 조금 올랐다 바람의 언덕과 매봉산 바라보며 내려온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고냉지 채소밭지나며 풍력발전기 바라보며 예전엔 힘들게 올랐던곳을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오늘은 편하게 올라 바람의 언덕 매봉산 큰 이정석을 지난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드라이브차량 하나둘 가끔 올라오며 바람의 언덕 구경하고든 한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매봉산 갈림길 이정표 도착하고 50미터 이동하여 매봉산 천의봉 이정석에 도착한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3차때 식사했던 전망대에 도착하여 경치구경 하고 갈림길에 돌아온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산을 내려와 채소밭옆 길을 따라 진행하여 낙동정맥 길림 이정석을 지나고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삼대강(한강,낙동강,오십천) 꼭지점 조형물 구경하고 내려와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도로 만났다 헤어지고 반복하며 삼수령/피재에 도착한다.(13:10)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현재온도 2도 삼수령 휴게소를 바라보고 올라 삼수령 조형물을 지나 가는데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길이좋아 어쩌면 9시간 이내 가능성을 두고 산행속도를 점점 올리며 간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건의령 터널까지만 가면 되기에 가능성을 두고 가면서 늦으면 할수없고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도착하는대로 18시 기차나 태백역 바로앞 버스터미날에서 버스 타던가 해야지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도로 편한길 따라 진행하고 산길 접어들어 진행 하면서 상사미동 바라보이는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전망바위를 지나 약10여분 남겨놓고 에약한 택시 콜한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약20분 걸리지만 내가 늦으면 안되기에 서둘어 진행하여 건의령에 도착한다.(14:42)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접속로 비탈길을 내려와 건의령터널앞 도로에 내려선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전화한지 15분이라 도로따라 반쯤 내려오니 택시와 산행종료 하고 택시탄다.(14:49)
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<도래기재 까지 출동 가능하다군요> 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철인 3종 경기를 하시며 태백산정상에 40키로 짐도 옮기는 알바도 하셨다는 대단한분이시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산도 다니시니 택시 예약시 장소설명이 편해서 좋고 뭔가 통해서 좋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17분 정도 달려 태백역에 도착하니 대충 한시간 여유가 있다. 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어제밤 들렸던 식당에 들려 늦은점심겸 저녁 먹으며 기차표 예약한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편의점 커피 한잔들고 태백역 역사에서 기다려 시간 맞추어 기차를 탄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기차에서 편히 쉬면서 상급 기차 통행으로인한 대기가 없어서인지 정시에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청량리 도착하고 전철타고 집으로 돌아온다. 2019 년 12월 19일 공작산
화방재~만항재~함백산~두문동재~금대봉~매봉산~피재~건의령(4차.빈).gpx
|
'백두대간(4完) > 대간4차(完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대간4차26구간(화방재~만항재~함백산~은대봉~두문동재~금대봉~비단봉~매봉산~피재~건의령)경치2 20.. (0) | 2019.12.20 |
---|---|
대간4차26구간(화방재~만항재~함백산~은대봉~두문동재~금대봉~비단봉~매봉산~피재~건의령)경치1 20.. (0) | 2019.12.20 |
대간4차24구간(도래기재~옥돌봉~박달령~선달산~늦은목이~갈곶산~마구령~고치령)경치1 2019.12.14 (0) | 2019.12.16 |
대간4차24구간(도래기재~옥돌봉~박달령~선달산~늦은목이~갈곶산~마구령~고치령) 2019.12.14 (0) | 2019.12.16 |
대간4차12구간(큰재~국수봉~용문산~작점고개~금산~추풍령)경치1 2019.12.10 (0) | 2019.12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