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산행구간: 백두대간30구간(박마을~부리기재~대미산~작은차갓재~황장산~벌재) |
경북 문경시 문경읍, 충북 괴산군 연풍면, 충주시 수안보면 일대 |
2. 산행일시 : 2017년 2월 18일 09:54~17:50(7시간56 분) 식사및 휴식 포함 |
3. 산행인원 : 공작산과 **~ |
4. 날씨 : 영하8도~4도 맑음 |
5. 산행거리 :16.79 Km |
6. 특징 : 황장산지나 감투봉등 3번의 얼음 내리막 겨울이라 위험. 길은 대로길 |
준비물: 아침, 물 1.5리터, 기타간식 |
7. 교통편 : 45인승 대형버스 |
포인트 | 거리 | 누계 | 예정 | 통과 |
박마을 | 10:00 | 9:54 | ||
부리기재 | 2.4 | 2.4 | 11:10 | 10:51 |
대미산 | 1.4 | 3.8 | 11:50 | 11:35 |
870봉 | 2.3 | 6.1 | 12:55 | 12:19 |
923봉 | 2.1 | 8.2 | 13:55 | 13:26 |
작은차갓재 | 1.7 | 9.9 | 14:45 | 14:05 |
황장산 | 2.0 | 11.9 | 15:45 | 14:59 |
1004봉 | 2.3 | 14.2 | 16:50 | 16:40 |
928봉 | 1.5 | 15.7 | 17:30 | 17:25 |
벌재 | 1.4 | 17.1 | 18:00 | 17:50 |
계 | 실거리 | 17.8 | 8:00 | 7:56 |
도엽명 : 동로,용연 |
대미산[ 大美山 ] 1,115m |
경상북도 문경군 문경읍 중평리와 관음리에 걸쳐 있는 산 |
문경시에서 가장 높은 산으로 이름만큼이나 아름다운 산이다. |
백두대간이 설악산, 오대산, 소백산을 지나서 죽령을 만들고 도솔봉(1,314m)을 지나 벌재를 만들고 |
다시 황장산(1,077m)을 일으키며 달려와 이 산을 지나서 하늘재, 문경새재, 이화령을 두고 |
희양산, 속리산을 지나 멀리 지리산으로 발길을 돌리고 있는 곳에 아주 점잖고 편안하게 앉아 있는 산이다 |
[네이버 지식백과] 대미산 [大美山] (두산백과) |
황장산 [ 黃腸山 ] 1,077m |
경상북도 문경시 동로면(東魯面)의 북부에 있는 산. |
월악산국립공원 동남단에 있는 산으로, 조선 말기까지 작성산(鵲城山)이라 불렀고, |
일제강점기에는 일본 천황의 정원이라 하여 황정산(皇廷山)이라고도 하였으며 |
대원군이 이 산의 황장목을 베어 경복궁을 지었다고도 전해진다. |
골짜기가 깊어 원시림이 잘 보존되어 있고 암벽 등이 빼어나며 부근에 문수봉(文繡峰)·도락산(道樂山) 등 산이 모여 있다 |
내성천(乃城川:낙동강의 지류)의 지류인 금천(錦川)의 상류부가 산의 남쪽 사면을 감돌아 흐른다. |
정상에서는 북쪽으로 도락산과 문수봉, 서쪽으로는 대미산, 남쪽으로는 공덕산(功德山:912m), 운달산(雲達山:1,097m)이 보인다. |
산중에는 고구려 때 축성되었다는 작성산성(鵲城山城)과 고려 공민왕 때 왕실의 비빈과 상궁들의 피신처가 되기도 하였다 |
[네이버 지식백과] 황장산 [黃腸山] (두산백과) |
박마을에 도착하니 10시가 거의 되어간다. 시멘트 임도를 따라 올라가 산으로 접어든다 |
가파른 경사길에 도착하여 지그재그길을 오르니 땀이 쭈룩쭈룩 흐른다. |
약360에서 900 까지 올라 거의 한시간을 걸려 부리기재에 도착한다. |
15분 정도 휴식후 출발한다. 이젠 완만한 오르막길 24분만에 대미산에 도착한다. |
사진찍으며 기다리고 20명 정도 모여서 단체사진 찍고 출발한다. |
바람이 강하게 불어 전망은 매우 좋지만 춥다.. 편안한길 오르막 내리막 하여 |
양지바른곳에 찾아 행동식 점심을 먹는다. 12:35 25분 휴식 |
비탈길 내려오다 중간지점 표지석에서 사진 찍고 진행한다. |
산에 전신주 ? 전선은 없고 전보대 만 덩그렇게 있다. 차갓재를 지나 송전탑을 지나고 |
또다른 중간지점 이정석을 지난다. 오르막길 올라 채니 작은차갓재 안내도가 나온다. |
안생달~작은차갓재~묏등바위~황장산~안생달 안내도가 나온다. |
역시 길정비가 아주 잘되있다. 예전에 대간1차때 황장산~묏등바위 대형알바후 탈출로 인하여 |
안생달 작은차갓재에서 묏등바위 왕복하고 대미산 거쳐 박마을 갔었던 기억이 난다 ㅋㅋ |
험한길은 계단과 데크길 그리고 전망대를 지나며 건너편 도락산과 황정산을 바라본다. |
지나온 산들을 바라보고 묏등바위를 바라보고 경치구경하며 오른다. |
묏등바위 도착하여 옛알바 자리를 둘러본다.. 지금은 철난간과 데크길로 바뀌었다. |
눈길 걸어 계단을 오르고 황장산에 도착한다. |
오늘길은 음지는 얼음길 양지는 질퍽길 그리고 반은 바위와 흙길이다. |
나중에 하산하여 보니 아이젠 한쪽이 줄이 끊어진다. 바위길 때문에… |
황장산 도착하여 사진찍고 간식먹으며 휴식하고 주위경치 구경하고 길을나선다 |
삼거리에 도착하여 안내도 뒤로 험한길을 접어든다. |
감투봉을 돌아 내려오는데 엉덩이 대고 가까스로 내려온다. |
황장재를 지나 985봉을 지나 내려오며 또한번 엉금엉금 내려온다. |
아주멀리 벌재 뒤에 있는 능선을 바라보니 아직 갈길이 멀다. |
1004봉 치마바위에 도착하여 휴식하며 간식을 먹는다. 체력소모가 많다. |
또한번 미끄러짓이 엉금코스를 지나 내려온다. 오른쪽멀리 동로면 적성리 마을이 보인다. |
이젠 산행시간도 7시간을 넘어가고 지루한 능선 길을 지나 간다. |
928봉을 지나 벌재에 도착하니 17:50 거의 8시간 산행하였다. |
사진찍고 휴식하며 기다리니 한시간후 거의 다도착되었고 한팀이 무지 고생한다. |
처음 부리기재 오르며 무리하더니 후반에 다리가 풀린모양이다.. |
주위는 어두워 졌고 무전기 통화하며 기다리기를 한시간지나 도착한다. |
정확히 두시간 기다려 19:51분경 상경한다. |
중간에 휴게소 들려 저녁을 해결한다고 하였는데. |
기사분 빨리오려고 자는틈새를 이용해 휴게소를 지나 논스톱으로 달려 |
죽전 양재 거쳐 강남역에 도착하니 22:08 이다. |
주위 식당도 문닫고 편의점에 들려 간단한것 먹으며 집으로 돌아온다. |
20174년 2월 18일 공작산
부리기재~대미산~황장산~벌재(빈).gpx
0.09MB
'백두대간(4完) > 대간2차(完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백두대간10구간(빼재~대봉~지봉~백암봉~동엽령~안성탐방소) 2017.02.25 (0) | 2017.02.27 |
---|---|
백두대간30구간(박마을~부리기재~대미산~작은차갓재~황장산~벌재)경치1 2017.02.18 (0) | 2017.02.21 |
백두대간9구간(황점-월성치-삿갓봉-삿갓골재-무룡산-동업령-안성탐방소)경치1 2017.02.11 (0) | 2017.02.15 |
백두대간9구간(황점-월성치-삿갓봉-삿갓골재-무룡산-동업령-안성탐방소) 2017.02.11 (0) | 2017.02.15 |
백두대간29구간(하늘재~포암산~마골치~꼭두바위봉~부리기재~박마을)경치1 2017.02.04 (0) | 2017.02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