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산행구간: 낙남정맥8구간(오곡재~여항산~서북산~대부산~한티재~광려산~대산~쌀재~만날고개) |
경남 함안군여항면,창원시(마산시) 진동면,진북면 일대 |
2. 산행일시 : 2012년 02월19일 04:51~15:15(10시간24분) |
3. 산행인원 : 공작산과 봄~ 산악회 낙동종주대 39명 |
4. 날씨 : 영하7~5도 새벽춥고 하루종일 찬바람 |
5. 산행거리 : 23.5 Km |
6. 특징 : 쌀재에서 만날고개 접속구간 |
준비물: 점심, 물 1.5리터, 소1, 사과1,귤4, 오1 기타간식 |
<GPS 조작실수로 오곡재~여항산 트랙 저장안됨>
포인트 | 거리 | 누계 | 예정 | |
오곡재 | 5:00 | 4:51 | ||
미산령 | 1.9 | 1.9 | 6:00 | |
여항산 | 2.0 | 3.9 | 7:20 | 6:33 |
서북산 | 3.5 | 7.4 | 9:00 | 7:50 |
대부산 | 3.5 | 10.9 | 10:25 | 9:34 |
한티재 | 2.3 | 13.2 | 11:30 | 10:21 |
광려산 | 1.4 | 14.6 | 12:50 | 12:09 |
대산 | 3.3 | 17.9 | 13:50 | 13:16 |
쌀재 | 3.1 | 21.0 | 15:00 | 14:45 |
만날고개 | 2.5 | 23.5 | 16:00 | 15:15 |
계 | 19.8 | 11시간 | 10:24 | |
도엽: 봉성,마산 |
낙남정맥이란
|
낙남정맥은 낙동강 남쪽에 위치한 정맥으로, 백두산에서 시작된 백두대간(白頭大幹)이 끝나는 |
지리산의 영신봉에서 동남쪽으로 흘러, 북쪽으로 남강의 진주와 남쪽의 하동·사천 사이로 이어져, |
동쪽으로 마산·창원 등지의 높이 300∼800m의 높고 낮은 산으로 연결되어 김해의 분성산(360m)에서 끝난다. |
서쪽에서는 섬진강 하류와 남강 상류를 가르고, 동쪽에서는 낙동강 남쪽의 분수령산맥이 된다. |
연결되는 주요산은 옥녀산(玉女山, 614m)·천금산(千金山)·무량산(無量山, 579m)·여항산(餘航山, 744m) |
·광로산(匡盧山, 720m)·구룡산(九龍山, 434m)·불모산(佛母山, 802m) 등으로 그 길이는 약 200㎞이다. |
지난주 낙동의 완주 파티를 뒤로하고 이번주는 계속되는 낙남정맥길이다.. |
오늘은 접속구간때문에 오래걸릴것 같이 기타 간식으로 빵,과자 등을 더가지고 간다.. |
사당에서 정시에 출발하여 오곡재에 도착하니 4시 30분경이다 .. 바람이 조금차다.. |
먼저 헤드랜턴이(마무트 T1)이 고장나 A/S보내고 새로산 헤드랜턴(마무트TR1) 세일기간이라 68000에 40% 40800원에.. |
하여튼 밝다.. 배낭 준비하여 잠시 몸을 푼후 출발하니 갑자기 비탈길 에구구 초반부터 헥헥댄다. |
해발385에서 554 까지 오르는데 경사가 만만치 않다.. 시작부터 뭐이래 ㅋㅋㅋ |
한참을 오르다 어느덧 평탄한길 가는가 싶더니 다시 오르막길 처음보단 덜하지만 에구구 ㅎㅎㅎ |
돌도 큼직큼직한것이 바위도 잡고 오른다… 랜턴이 밝다가 흐려진다.. 건전지 탓 좀더 진행한후 갈아낀다.. |
나무계단도 오르고 하다보니 여항산에 도달한다.. 조금 날이 밝아오려는듯 동쪽하늘이 붉게 보인다.. |
여항산(艅航山 770m) |
여항산은 경남 함안 여항면 주서리 일원에 위치하고 있으며, 해발 770m로 6ㆍ25의 격전지이며 갓바위로도 잘 알려진 곳이기도 하다. |
여항산의 본래의 지명은 알 수 없지만 조선 선조 16년(1583) 한강 정구가 함주도호부사로 부임하여 와서 |
풍수지리학적으로 남고북저한 함안의 지명을 배가 다니는 곳은 낮은 곳을 의미한다고 하여 |
남쪽에 위치한 이 산을 배 "艅" 배 "航"자로 하여 지은 이름이라 전하는데 이곳에서는 각데미(혹은 곽데미)산으로도 알려져 있다 |
[출처] 여항산(艅航山) | 네이버 백과사전 |
지리산권 영신봉을 제외한 낙남정맥중 최고봉이다.. 그런데 배가 지난다? 에잉 말도 안돼~ 이렇게 힘든데… ㅎㅎㅎ |
바람도 휑하니 추운데 어렴풋 떠있는 실바늘 같은 초승달이 쓸쓸한 하늘을 지키고 있다.. |
이젠 내리막길 바위와 큰돌이 있고 가끔 미끄러지는 모래알같은 길,, 쭉쭉 미그럼타다시피 내려오니.. |
무릎이 가끔 시위를 한다.. 조심조심하면서 내려오는데 올라가는것보다 싫다.. |
여항산을 내려와 작은 봉을 오르락 내리락 하다보니 해가 떠오른다,, 멀리 마산항구도 보이고 경치가 보기 좋다.. |
더 진행하다보니 서북산 전적비와 서북산이 나온다.. 사진 찍고 하산길 진행하다가 바람 덜부는 곳을 찾아서 아침을 먹는다. |
뜨듯한 라면국물과 함께 밥을 먹고 잠시 휴식하고 일어선다(40여분소요) |
이젠 견딜만한 바람과 밝은 날씨에 좀 여유를 가지고 산행을 한다.. 장거리 산행이라 체력 안배를 하면서.. |
감재고개를 지나서 오름길을 오르면서 송전탑을 두개보고 좌측으로 돌며 대부산을 향하여 산을 오른다.. |
대부산 나무 이정표를 만나 사진을 찍고 진행하니 봉화산 갈림길이 나온다.. 상당히 멀리있어 당연히 포기 진행한다. |
나중에 그분들은 한티재 탈출하는 다른산우가 산행을 하면서 찍은 사진을 보며 위안삼는다.. |
다시 하산길 아이고 다리야 하면서 천천히 내려가니 한티재가 나온다.. 시골 동네 바람만 썰렁한데 가끔지나가는 차들.. |
한우고기 식당과 맞은편엔 진고개 휴게소가 있는데 문닫았다… 일요일인데…. 헐.. |
진고개 휴게소 앞에 커피 자판기를 밀크커리를 눌러보니 안나온다.. 떨어졌구만…. |
블랙커피와 프림커피를 뽑아.. 두개섞어서 다른 산우와 나눠 마시니 그런대로 괞찮다.. |
20여분 쉬니 본대 도착 출밯안다.. 이젠 대단한 오르막길 쉬었으니 힘내어 올라간다.. |
해발 200여미터 한티재에서 720 미터 광려산 삿갓봉을 향해.. 1.5키로 이지만 한시간여 올라 정상에 도착한다.. |
광려산 [匡廬山] 높이는 720m이다 |
중생대 백악기 말기(약 8천만 년 전)의 퇴적암이 주류인 함안층 산지로, 주봉은 삿갓봉이다. |
마산 무학산(舞鶴山:761m)이 물가에 춤추는 학이라면 등뒤 서쪽에 숨겨져 알려지지 않은 이 산은 학집같이 아기자기한 맛이 나며, |
《삼국사기(三國史記)》 《대동여지도(大東輿地圖)》 《창원읍지(昌原邑誌)》 등에도 기록되어 있는 유서 깊은 명산이다. |
창원시 마산회원구 내서읍과 진북면, 함안군 여항면·함안면·산인면과 경계를 이룬다. |
남북의 대산(代山:727m)에서 730봉과 이어져 산세가 당당하다. 무학산·대산·광려산·730봉으로 둘러싸인 |
내서읍 감천골은 첩첩산골로 700m급 산들 때문에 청정한 풍광을 지녀 사철 마산 등지에서 찾는 산꾼과 유람객들로 붐빈다 |
[출처] 광려산 [匡廬山 ] | 네이버 백과사전 |
광려산 바룰광 오두막집려 하여튼 희한한 지명이다.. 광려산 삿갓봉 사진을 찍고 30분쯤 진행하니 광려산 정상이나온다.. |
삿갓봉 720 미터 광려산 정상 752미터 그런데 주봉은 삿갓봉이라 한다.. 왜일까? 경치도 막상막하 이건만.. |
에고 머리 식히려 왔다가 머리만 복잡하다.. 하여튼 정상이다.. 사진찍고 진행한다.. |
멀리 마산항과 함안군여항면을 경치구경 하면서 산행 내리막 한참찍고 다시오르니 대산720고지이다. |
여항산, 광려산 삿갓봉, 광려산, 대산 700 넘는 산을 이제 넘고 다음에 넘어야할 마산 무학산이 멀리 보인다. |
대산에서 사진찍고 고금가니 아주작은 이정석에 광산먼등 표지석이 반긴다.. |
이젠 쭉 내리막길 오늘따라 내리막길이 싫다.. 윗바람재를 지나고 산불감시초소에서 전망을 바라보며 배낭털이를 한다. |
그리고 내리막길 내려가 바람재 팔각정자를 만나니 앞에 작지만 보너스로 447봉을 오른다.. |
힘이든 상태라 에휴~하며 .. 대장님몇 산우들이 그냥 오른쪽 우회할까? 했지만 뭔소리 하며 차고 나간다.. |
나중에 산우셋이서 오른쪽으로 갔다가 마을로 잘못들어 알바하고 후미보다 30분 더 늦게 오고야 말았다.. |
447봉을 넘어 내리막길을 내려오니 임도를 만나고 큰 암도를 만나려니 철문이 닫혀있다.. 에이 고얀인심.. |
밑으로 사이로 나는 철조망 위로 통과한다.. 썰재 이정표를 만나고 다음에 가야할 입구를 봐두고 |
임도따라 만날고개로 향한다… 1.5키로 정도 시멘트길을 걸어 만날고개 공원에 도착하여 산행을 종료한다.. |
본대및 후미 기다려 식당으로 이동하고 알바조는 식당으로(16:20)… 아구찜으로 늦은 점심한다. |
서울보다 별로다 하면서 뜨네기 손님이라 불친절하네~ 인터넷 매운맛 좀 봐야겠네하며 마신다.. |
17:30분경 버스로 상경 사당도착 22:00 다음을 기약하며 헤어진다. |
12구간중 어느덧 8구간 반이상 지났다.. 한구간 보충산행이 남았지만.. 그래도 4구간만 가면된다.. |
오늘은 여항산 주변이 암벽에 바위산이라 내리막길에서 무릎이 좀 아프다… |
이번주는 금남호남 1구간 시작이다.. 당일산행.. 무리하지 않게 천천히 진행하자..
2012년 02월19일 공작산. |
'9정맥(完) > 낙남정맥(完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낙남정맥9구간(쌀재~대곡산~무학산~마재고개~송정고개~장동산~천주산~굴현고개~신풍고개) 2012.03.04 (0) | 2012.03.05 |
---|---|
낙남정맥8구간(오곡재~여항산~서북산~대부산~한티재~광려산~대산~쌀재~만날고개)경치1 2012.02.19 (0) | 2012.02.21 |
낙남정맥7구간(새터재~필두봉~담티재~남성치~깃대봉~발산재~오곡재)경치1 2012.02.05 (0) | 2012.02.06 |
낙남정맥7구간(새터재~필두봉~담티재~남성치~깃대봉~발산재~오곡재) 2012.02.05 (0) | 2012.02.06 |
낙남정맥5구간(계리재~봉전고개~무선산~돌장고개~봉대산~양전산~부련이재~백운산~추계재)경치2 2011.12.18 (0) | 2011.12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