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산행구간: 대간4차29구간(삽당령~두리봉~석병산~생계령~백복령)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강원도 정선군 임계면, 강릉시 옥계면 일대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2. 산행일시 : 2019년 9월 28일 3:16~8:50(5시간34분) 식사및 휴식 포함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3. 산행인원 : 공작산과 좋은~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4. 날씨 : 15도~26도 맑음 운무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5. 산행거리 : 17.84 Km (trackmaer 프로그램기준)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6. 특징 : 맑은 날씨이나 새벽 운무와 이슬로 물탱이산행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7. 교통편 : 36인승 대형버스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|
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백복령(白茯嶺)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강원도 정선군 임계면, 강릉시 옥계면, 동해시 사이에 있는 고개이다. 높이는 해발 750m이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복령이라는 약초가 많이 자생한다고 하여 백복령이라 불리워지고 42번 국도가 개통되기전 영동과 영서를 잇는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교통로로써 , 정선 백복령 카르스트지대는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440호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카르스트는 유럽 발칸 반도 북서부 슬로베니아에 속한 카르스트 지방의 지명에서 나온 학술용어로,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석회암 분포지에서 용식에 의해 형성된 지형을 가리킨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백복령 카르스트 지대는 임계면 직원리 산1-1 등 11필지에 해당되며, 면적은 543,000㎡이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[네이버 지식백과] 정선 백복령 카르스트 지대 [旌善白茯嶺─地帶] (한국민족문화대백과, 한국학중앙연구원)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자병산[紫屛山, Jabyeongsan ]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강원도 강릉시 옥계면 남양리와 정선군 임계면 직원리 사이에 있는 산이다(고도:810m)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태백산지의 산줄기 중 북쪽의 두리봉(1,033m) · 석병산(1,055m) · 생계령 · 자병산 · 백봉령으로 이어진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자병산은 온통 바위로 덮여 있다. 이들 바위는 석회암인데, 고생대에 열대 바다에서 형성된 해성퇴적암으로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풍화에 비교적 강한 성질을 지녔기 때문에 노두에 남아 있게 된 것이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자병산이라는 이름은 이들 암석의 색깔이 불그스레하여 주위가 늘 붉게 보이는 데서 유래하였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암석의 붉은 색조는 산체가 형성되기 이전부터 이미 석회암이 형성될 때 착색된 석회암의 색깔 때문이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이 산지 일대는 석회암 기반의 카르스트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석회동굴과 석굴 · 돌리네가 산재하고 있다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[네이버 지식백과] 자병산 [紫屛山, Jabyeongsan] (한국지명유래집 중부편 지명, 2008. 12., 국토지리정보원)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석병산[石屛山 ]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강원도 정선군 임계면과 강릉시 옥계면에 걸쳐 있는 산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높이 1,055m. 북쪽에 만덕봉(萬德峰, 1,035m), 서쪽에 대화실산(大花實山, 1,010m),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서남쪽에 노추산(魯鄒山, 1,322m), 동남쪽에 자병산(紫屛山, 873m) 등이 솟아 있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석병산을 위시하여 가까운 두리봉에 이르기까지 산 전체가 암석으로 덮여 있고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석각의 모습은 병풍을 두른 것처럼 보인다. 이러한 산의 모습에서 지명이 유래했음을 읽을 수 있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[네이버 지식백과] 석병산 [石屛山] (한국민족문화대백과, 한국학중앙연구원)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삽당령[揷唐嶺 ]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삽당령은 산 정상의 생김새가 삼지창처럼 세 가닥으로 생겨 이름이 붙여졌다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강릉시와 정선군 임계면을 오가기 위한 길로 만들어졌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삽당령의 오른쪽에 있는 가지는 화심형(花心形)으로 생긴 대화실산 밑을 돌아 대기리 벌말로 이어지고,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가운데 있는 가지는 송현을 지나 정선으로 이어지고,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왼쪽에 있는 가지는 동쪽으로 뻗어 이어지면서 두리봉, 석병산으로 가는 줄기가 된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[네이버 지식백과] 삽당령 [揷唐嶺] (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, 한국학중앙연구원)
2019년 9월 28일 공작산
|
'백두대간(4完) > 대간4차(完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대간4차19구간(이화령~조령산~신선암봉~조령3관문~마패봉~탄항산~하늘재~미륵주차장)2019.10.05 (0) | 2019.10.07 |
---|---|
대간4차29구간(삽당령~두리봉~석병산~생계령~백복령)경치1 2019.09.28 (0) | 2019.09.29 |
대간4차35-2구간(백담사~오세암~마등령~공룡능선~무너미고개~천불동~비선대~설악동)경치2 2019.09.25 (0) | 2019.09.26 |
대간4차35-2구간(백담사~오세암~마등령~공룡능선~무너미고개~천불동~비선대~설악동)경치1 2019.09.25 (0) | 2019.09.26 |
대간4차35-2구간(백담사~오세암~마등령~공룡능선~무너미고개~천불동~비선대~설악동)2019.09.25 (0) | 2019.09.2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