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산행구간: 수도지맥1구간(소사재~분기점~초점산~분기점~감주재~국사봉~하성~배티고개) |
전북 무주군 무풍면, 경북 김천시 대덕면, 경남 거창군 고제면, 웅양면 일대 |
2. 산행일시 : 2014년 3월 22일 10:38~14:39(4시간1분) 간단한 휴식 포함 |
3. 산행인원 : 공작산과 산악~ 산악회 수도지맥 종주대46명 |
4. 날씨 : 영하4도~17도 맑음 |
5. 산행거리 : 14.3 Km |
6. 특징 : 음지엔 눈이 약간 남았으나 땅이 녹아 질적한곳 많음 |
준비물: 밥버거, 물 1.0리터, 기타간식 |
7. 교통편 : 수도지맥 전용 45인승 버스 |
대간1기 맛보기때 사진
대간2기 땜방때 사진
포인트 | 거리 | 누계 | 예정 | 통과 |
소사재 | 11:00 | 10:38 | ||
초점산 | 2.8 | 2.8 | 12:00 | 11:36 |
903봉 | 2.7 | 5.5 | 13:00 | 12:22 |
853봉 | 2.4 | 7.9 | 13:40 | 12:51 |
국사봉 | 1.6 | 9.5 | 14:20 | 13:43 |
배티고개 | 2.9 | 12.4 | 15:20 | 14:39 |
계 | 실거리 | 13.2 | 5시간20 | 4시간1 |
도엽명 : 무풍,대덕,웅양 |
수도지맥(修道枝脈)은? |
백두대간이 전북 무주군과 경북 김천군과 경남 거창군등 삼도가 만나는 대덕산(大德山 1,290.9m) 남쪽의 삼도봉(일명 초점산.1250m)에서 남쪽으로 300여m 떨어진 지점에서 시작하여 |
남동쪽으로 가지를 쳐 내려가며 경상남,북 도계를 따라 봉산(902m),수도산(1317m),단지봉(1,326.7m),좌일곡령(1257.6m)을 지나 가야산을 목전에 두고 두리봉(1133m)에서 |
도계를 벗어나 남쪽으로 거창군과 합천군경계를 따라 남산(1113m),마령(1006.5m),우두산(의상봉.1046.2m),비계산(1130m),88고속도로,두무산(1038.4m),오도산(1120m)등 |
1000m이상의 장쾌한 능선이 60여km 이어진다. |
오도산에서 거창군과는 작별을하고 온전한 합천땅으로 들어서며 고도를 낮춰 토곡산(644m)를 지나면 다시 경상남,북도계를 만나 고령군과 합천군계를 따라 |
만대산(688m),시리봉(408m)을 지나 솜등산(271m)에 올라선 도계능선과는 작별을하고 마지막 여력으로 필봉(330m), 부수봉(317m),성산(205.7m)을 내려서며 맥을 다한다. |
수도지맥 동북쪽으로 흐르는 감천(甘川)은 길이 69km,유역면적 10만 ㎢로 수도산북쪽에서 발원하여 김천시의 지명을 낳게하고 김천시일대를 지나 |
구미시 선산읍 원리에서 낙동강으로 흘러들고 수도지맥 동쪽내지 동남쪽으로 흐르는 회천(會川)은 길이 78km,유역면적 78000㎢로 |
수도산 동쪽기슭에서 발원하여 대가천(大伽川)을 이루어 성주호에 들었다가 다시 동으로 흘러 고령읍에서 소가천(小伽川), 안림천(安林川과 합류하고 |
고령군 덕곡면 율지나루에서 낙동강에 흘러든다. |
수도지맥 서쪽으로 흐르는 황강(黃江)은 길이 111km,유역면적 13만 ㎢로 남덕유산(1507m)동쪽 계곡에서 발원하여 |
동남쪽으로 흘러 합천호(陜川湖)에 들었다가 합천군 청덕면 적포리 일대에서 낙동강에 흘러들며 맥을 다한다. |
수도지맥중 제일 높은산은 단지봉(1,326.7m)이지만 지맥의 이름을 수도지맥으로 한것은 아마도 수도산(修道山 1,317.1m)의 유명세일듯싶고 |
좌일곡령 (座壹谷嶺 .1,257.6m)은 일부지도가 좌대곡령( 座臺谷嶺)으로 표기하고 있으나 壹(한일)자와 臺(돈대대)가 비슷하여 생긴일은듯하며 |
국토지리정보원의 25000지도는 "좌일곡령(座壹谷嶺)"으로 표기되고 있다. |
수도지맥은 도상거리 105.8km로 행정구역은 경북 김천시,성주군,고령군과 경남 거창군,합천군을 지나며 |
필요한 지도는 1 : 25000. 대덕.웅양.가야.마상.구정.고령.쌍책.7매. |
1 : 50000. 무풍.가야.합천.창령.4매. |
오늘 소사재에서 부터 초점산까지는 백두대간 신풍령(빼재)~부항령 구간으로서 |
맛보기때 2007년4월21일 진행하고.. 대간 완주때엔 2010년6월6일 진행한 뜻깊은 코스이다. |
첫구간 구간을 소사재에서 우두령까지 계획했다가 초점산과 국사봉 들린후 배티고개에서 봉산 오르고 4키로 더진행하기엔 |
애매하다고.. 배티고개에서 줄이니 너무 일찍 끝난것 같다. 더 진행해도 16:30쯤엔 끝날것 같은데.. 단체이니 결정대로 해야지.. |
수도지맥을 위해 집에서 5시40분쯤 나와 사당에서 6:40 버스를 탄다.. |
사당이나 중간에 들린 인삼랜드 휴게소엔 인산인해다.. 벌써 봄나들이 철인가… |
소사재 10시30분경 도착하여 사진 한장 찍고 출발한다.. 거창 백두대간 등산로 안내도 를 보는데 기억이 안난다. |
집에와 지난사진 보니 아하~~ 야산을 올라 묘지길 고냉지 채소밭을 지나다보니 이제야 기억이 난다.. |
뒤돌아보니 빼재지나 삼봉산이 보이고 가파른 경사길이 보인다.. 아하~ 대간맛보기 산행때 스틱 망가진곳이네… |
첫 맛보기 산행에서 뒤쳐지지 않으려고 부지런히 진행하다가 앞으로 넘어질뻔하였는데 스틱만 휘고 다행히 멀쩡 |
스틱 충성에 감사하여햐 함에도 불구하고 화풀이를 스틱에 하며 팽개쳤던곳 ㅎㅎㅎ |
야산과 임도를 번갈아가며 진행하니 드디어 삼도봉(초점산) 갈림길에 들어선다.. 저기서 아침먹고 헉헉 올랐었지.. |
본격적인 경사로 된비알 시작한다,, 해발 800여에서 1180 까지 오르는 급경사 오르막 … |
여름바지에 여름 긴티입었는데도 땀이 쭈룩쭈룩 흐른다.. 기온도 15도 정도 인것 같으니 꽤 더욱 덥다. |
30여분 헉헉 오르니 수도지맥 분기점에 도착한다.. 초점산까지 400여미터 완만한 경사 왕복15분 걸린다. |
날도 좋고 전망도 좋은데 대간길 초점산(삼도봉) 가봐야지.. 가방을 놓고 카메라 GPS 핸드폰 만들고 진행한다. |
초점산 정상석 예전것은 두동강 나서 앞에 놓여져있고 새로 깨끗이 해놓았네.. |
정상석 주위가 땅이 녹아 논바닥과 같아 조금 떨어져 사진찍고 돌아선다. |
저멀리 대덕산 투구봉이 보이고 뒤돌아 보니 삼도봉과 무주 스키장이 보인다. |
나중에 대간길 언젠가 다시 오기로 하고 뒤돌아서 분기점으로 다시 돌아온다.. |
이제 수도지맥길로 진행한다. 넓었던 대간길 뒤로 하고 지맥길 좁아진다. |
내려다보면 올라온길 약간 왼쪽으로 다시 내려가는데.. 이번엔 급경사 내리막 1180에서 800미터까지 내리막길이다. |
고냉지 채소밭에 내려서고 .. 초점산 삼도봉 갈림길(된비알시작점)에서 직선 800여미터.. 거리이다.. |
지맥길은 가시넝쿨과 밭으로 절단.. 채소밭 임도길을 따라 진행한다. |
작은야산과 약간의 가시나무를 지나 877봉을 오른다.. 뒤로 대간길 초점산과 대덕산이 보인다 |
잡목사이로 국사봉과 지맥길을 전망하고 진행하고… 잠시후 철조망을 따라 한참진행한다, |
오른쪽 저멀리 신촌리 오늘 산행 종착지인 한기리가 보이고 그리고 봉산이 보인다. |
봉산 넘어 수도산과 지맥길 바라보며 진행하다보니 임도에 도착한다 .. 감주재이다.. |
경남 거창군 웅양면 한기리뫄 경북 김천시 무풍면 내강리를 잇는 소형트럭 진행할수있는 도로이다, |
도로따라가면 30분이면 쫑? ㅎㅎㅎ ..물한모금과 주먹밥 먹으며 5분 휴식하고 오르니 에구구 숨이 차다.. |
날씨도 덥고 뙤악볕을 올라 국사봉 갈림길에 도착한다… 국사봉도 400미터 떨어지고 왕복16분 거리이다. |
배낭 놓고 가벼운 차림으로 진행하여 오른다.. 약간 경사진 산을 올라 국사봉에 도착한다 |
초점산과 대덕산 그리고 덕산재를 바라보고 반대편 수도산쪽은 잡목에 가려져 잘안보인다. |
국사봉갈림길로 돌아와 하산 내리막을 내려오는데 나무뿌리와 줄기로 조심하며 내려온다. |
묘와 마을 을 지나고 야산을 오르니 하성.. 성터를 지나고 내려오니 3번도로를 만난다. |
배티고개 경남 거창과 경북 김천 경계점 왕복2차선도로 이다 |
지맥길 산행은 종료하고 도로를 따라 진행 버스인는곳 한기마을에 도착 산행을 종료한다. |
왕복8시간와서 4시간 산행 좀 아쉽다. 동네 농가 근처에서 간단히 세수하고 씻고 육개장에 소막 하고 버스에 오른다. |
휴게소 한번들리고 상경 빚으로 돌아와 푹쉰다.. 오늘도 즐거운 하루였다. |
2014.03.22 공작산 |
'100키로급9지맥(完) > 수도지맥(대간·完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수도지맥2구간(배티고개~봉산~우두령~시코봉~신선봉~수도산~불석재~송곡령~구곡령~수도리)경치2 2014.04.12 (0) | 2014.04.15 |
---|---|
수도지맥2구간(배티고개~봉산~우두령~시코봉~신선봉~수도산~불석재~송곡령~구곡령~수도리)경치1 2014.04.12 (0) | 2014.04.15 |
수도지맥2구간(배티고개~봉산~우두령~시코봉~신선봉~수도산~불석재~송곡령~구곡령~수도리)2014.04.12 (0) | 2014.04.15 |
수도지맥1구간(소사재~분기점~초점산~분기점~감주재~국사봉~하성~배티고개)경치2 2014.03.22 (0) | 2014.03.24 |
수도지맥1구간(소사재~분기점~초점산~분기점~감주재~국사봉~하성~배티고개)경치1 2014.03.22 (0) | 2014.03.2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