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산행구간: 한남금북1구간(대목리~914봉~천황봉~687봉~불목이재~갈목재~말티재) |
경북 상주시, 충북 보은군 일대 |
2. 산행일시 : 2012년 07월14일 04:40~12:51 (8시간11분 휴식포함) |
3. 산행인원 : 공작산 나홀로 |
4. 날씨 : 21~27도 흐림 안개.. 산행후 폭우 |
5. 산행거리 : 19.2Km |
6. 특징 : 7번째 정맥 으로 한남금북정맥 시작하다 |
준비물: 점심, 물 2리터, 음료1.복2, 오이2, 기타간식 |
<교통편>
서울 | 도화리 | 왕복380Km | 57000 | 추정 |
통행료 | 서서울 | 속리산IC | 9600 | |
통행료 | 속리산IC | 북수원 | 8600 | |
택시 | 말티재 | 도화리 | 20000 | |
95200 |
포인트 | 거리 | 누계 | 예정 | 통과 |
대목리,도화리 | 4:00 | 4:40 | ||
914봉 | 2.7 | 2.7 | 5:20 | 6:11 |
천왕봉 | 0.6 | 3.3 | 5:40 | 6:30 |
687봉 | 2.8 | 6.1 | 6:50 | 8:03 |
638봉 | 1.5 | 7.6 | 7:30 | 8:30 |
불목이 | 2.2 | 9.8 | 8:25 | 9:48 |
갈목재 | 2.5 | 12.3 | 9:30 | 10:38 |
450봉 | 2.4 | 14.7 | 10:50 | 11:41 |
531봉 | 1.6 | 16.3 | 11:30 | 12:37 |
말티재 | 0.8 | 17.1 | 12:00 | 12:51 |
계 | 실거리 | 19.1 | 8시간 | 8시간11 |
도엽명 : 상판, 관기,속리천 |
한남금북정맥(漢南錦北正脈) 이란 |
백두대간의 속리산에서 시작해 회유치를 지나 충북 보은의 피반령, 청주의 상령산, |
괴산의 보광산, 음성의 보현산, 경기도 죽산의 칠현산에 이르러 북으로 한남정맥을, 남으로 금북정맥을 갈라놓는다. |
한남정맥과 금북정맥을 합친 이름이며, 한강 남쪽, 금강 북쪽 산줄기이다 |
회유치(回踰峙) 구치(龜峙) 연치(燕峙) 피반령(皮盤嶺) 선도산(仙到山) 거죽령(巨竹嶺) 상령산(上嶺山) |
상당산(上黨山) 분치(粉峙) 좌구산(坐龜山) 보광산(普光山) 봉학산(鳳鶴山) 증산(甑山) 마곡산(麻谷山) |
보현산(普賢山) 소속리산(小俗離山) 망이산(望夷山) 주걸산(周傑山) 칠현산(七賢山) 으로 158.1km 이른다. |
한남 금북정맥(총 도상거리 158.1km)은 백두대간의 속리산 천왕봉(1057.7m)에서 분기하여 북으로는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한강(총길이 494.5km)과 남으로는 금강(총길이 401km)의 분수계를 이루며, 충청북도를 북서방향으로 연결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하고 경기도 안성의 칠장산까지 백두대간에서 남한의 정중앙을 잇는 큰 산줄기입니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속리산 천왕봉에서 내려온 한남금북정맥은 충북 보은의 구봉산등 500m급의 많은 봉우리를 넘으며 이어지다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청주의 선도산과 백제시대의 유명한 상당산성을 지나 괴산의 좌구산을 넘고, 음성의 보현산과 소속리산을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넘으면서 9구간정도 꾸준히 500m~600m급의 정맥 길로 줄기차게 이어오다 음성의 금왕읍을 통과하면서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표고 150m 이하의 구릉지대(도상거리 20여km)를 지나면서 끈질기게 이어지게 되고,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다시 이천의 마이산을 넘으면서 안성의 칠장산에 올라 한남금북정맥은 분기됩니다.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한남 정맥(총 도상거리 178.5km)은 칠장산에서 북서쪽으로 경기도 용인과 수원의 산줄기를 거쳐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부천과 인천을 지나 김포의 문수봉에서 한강하구로 그 맥을 가라앉히고,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남서방향으로는 금북 정맥(총 도상거리282.4km)으로 이어지며 안성땅을 지나 충남의 천안과 예산의 산줄기를 거처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홍성과 당진, 서산을 지나 태안의 지령산에서 서해바다로 그 맥을 가라앉히는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3정맥 총 도상거리 619km에 달하는 큰 산줄기입니다
|
'9정맥(完) > 한남금북정맥(完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한남금북3구간(대안리고개~쌍암재~국사봉~추정재~선두산~선도산~현암삼거리)경치2 2012.10.14 (0) | 2012.10.16 |
---|---|
한남금북3구간(대안리고개~쌍암재~국사봉~추정재~선두산~선도산~현암삼거리)경치1 2012.10.14 (0) | 2012.10.16 |
한남금북3구간(대안리고개~쌍암재~국사봉~추정재~선두산~선도산~현암삼거리) 2012.10.14 (0) | 2012.10.15 |
한남금북1구간(대목리~914봉~천황봉~687봉~불목이재~갈목재~말티재)경치2 2012.07.14 (0) | 2012.07.16 |
한남금북1구간(대목리~914봉~천황봉~687봉~불목이재~갈목재~말티재)경치1 2012.07.14 (0) | 2012.07.16 |